일반사회통계(307호) - 대한민국 신뢰도 조사

일반 사회 통계
일반 사회 통계
간편후원 신청
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
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.
연락처
전문보기
닫기
전문보기
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
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.이용하고자 합니다.

1. 개인정보 수집 · 이용
본인은 [개인정보 보호법] 제 15조(개인정보의 수집 · 이용)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·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.

가. [수집 · 이용목적]
수집 · 이용목적 :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

나. [수집 · 이용항목]
수집 · 이용항목 : 연락처

닫기

일반사회통계(307호) - 대한민국 신뢰도 조사

2025-10-21 15:14 16
  • 트위터로 보내기
  • 페이스북으로 보내기
  •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
  • 클립보드 복사
[넘버즈] 307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.
제목 : <대한민국 신뢰도 조사>
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.
8de601b7f8e26f6c858e82dae66a692e_1761026751_1964.png
[대한민국 신뢰도 조사]
이재명 대통령 1년 차 신뢰도 10점 만점에 5.5점!

• 시사IN에서는 매년(2011년 제외) 한국 정치/사회 전반의 신뢰도 조사를 진행하여 발표하는데 올해(2025년) 조사 결과가 최근 발표돼 이를 살펴본다.
• 17대(이명박)부터 21대(이재명) 대통령까지 신뢰도*를 측정한 결과, 2024년 윤석열 전 대통령이 받은 신뢰도 점수가 10점 만점에 2.8점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. 2025년 현재 이재명 대통령의 신뢰도는 5.5점으로 보통 정도였고,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인 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으로 6.7점(2017년)이었다.
• 취임 첫해 기준으로 보면 이재명 대통령의 신뢰도는 이명박∙윤석열 전 대통령(각각 4.3점, 3.6점)보다는 높았으나, 박근혜∙문재인 전 대통령(각각 6.6점, 6.7점)보다는 낮았다.
8de601b7f8e26f6c858e82dae66a692e_1761027180_422.png


국가기관 신뢰도, 1위는 ‘대통령실’, 꼴찌는 ‘검찰’!
• 이번에는 국가기관 신뢰도를 살펴본다. 대통령실, 국회 등 9개 국가기관 중 ‘대통령실’(5.2점)이 가장 최고점을 기록했다. 이어 ‘헌법재판소’(4.9점), ‘중앙선거관리위원회’(4.5점) 등의 순이었다.
• 조사 국가기관 중 가장 낮은 신뢰도 점수는 ‘검찰’(3.1점)이 차지했다.
8de601b7f8e26f6c858e82dae66a692e_1761027187_248.png


검찰 신뢰도, 역대 점수 중 가장 낮아!
• 정부∙여당이 검찰청을 폐지하기로 함에 따라 이제 검찰은 ‘중대범죄수사청’과 ‘공소청’으로 분리된다. 공식적으로 검찰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올해가 마지막일 것이다. 이에 지난 11년간(2015~2025) 검찰 신뢰도를 들여다 본다.
• 이번 조사에서 검찰의 신뢰도는 3.1점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. 2015년 4.3점에서 2021년까지 등락을 보이다가 그 이후 점차 신뢰도가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.
8de601b7f8e26f6c858e82dae66a692e_1761027193_5348.png


사법부 신뢰도, 2022년 이후 하락 추세!
• 최근 조희대 사법부를 둘러싼 논란이 있는데, 대법원(사법부)의 국민 신뢰도는 어떤지 살펴본다. 최근 5년간(2021~2025년) 대법원의 신뢰도 조사 결과를 보면 2021년 4.1점, 2022년 4.3점, 2023년 4.2점에서 2025년 4.1점으로, 2022년 이후 조금씩 하락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.
•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은 사법부에 대해 평균 이하의 낮은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.
8de601b7f8e26f6c858e82dae66a692e_1761027199_7291.png

 

, , ,

이전글 일반사회통계(307호) - 아동 정신건강 문제 2025-10-21 다음글 일반사회통계(306호) - 한국인의 나이와 수명에 대한 인식 2025-10-14

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, 넘버즈

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