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반사회통계(301호) - 한국인의 일본∙중국 인식

일반 사회 통계
일반 사회 통계
간편후원 신청
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
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.
연락처
전문보기
닫기
전문보기
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
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.이용하고자 합니다.

1. 개인정보 수집 · 이용
본인은 [개인정보 보호법] 제 15조(개인정보의 수집 · 이용)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·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.

가. [수집 · 이용목적]
수집 · 이용목적 :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

나. [수집 · 이용항목]
수집 · 이용항목 : 연락처

닫기

일반사회통계(301호) - 한국인의 일본∙중국 인식

2025-09-02 13:54 52
  • 트위터로 보내기
  • 페이스북으로 보내기
  •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
  • 클립보드 복사
[넘버즈] 301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.
제목 : <한국인의 일본∙중국 인식>
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.
749c616cb67f1a2ad7b64c61fc8b2e5d_1756788616_4232.png
[한국인의 일본∙중국 인식]
일본에 대한 호감도 52%, 역대 최고치 기록!

• 한국 동아시아연구원(EAI), 일본 아시아∙태평양 이니셔티브(API), 미국 한국경제연구소(KEI)의 최근 발표된 ‘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’를 통해 한국인의 일본에 관한 인식을 살펴본다.
• 먼저, 일본에 대한 인상을 물은 결과, 한국인의 52%가 ‘일본에 좋은 인상을 갖고 있다’고 응답했다. 이는 2013년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며, ‘좋지 않은 인상’ 응답률을 앞지른 것도 처음이다.
749c616cb67f1a2ad7b64c61fc8b2e5d_1756788826_584.png


일본에 좋은 인상: 친절·식문화, 나쁜 인상: 역사·영토!
• 일본에 좋은 인상을 갖게 된 가장 큰 이유는 ‘친절하고 성실한 국민성’(47%)이 가장 높았고, 반면, 좋지 않은 인상을 갖는 이유로는 ‘한국을 침탈한 역사를 제대로 반성하지 않고 있어서’(83%), ‘독도 문제’(48%) 등의 순으로 부정적 이미지는 여전히 역사 및 영토 문제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준다.
749c616cb67f1a2ad7b64c61fc8b2e5d_1756788834_074.png


그러나 일본 국민은 절반이 한국에 대해 ‘좋지 않은 인상’!
• 2025년 기준 한국 국민 절반 이상이 일본에 대해 ‘좋은 인상’(52%)이라고 응답했는데 반해, 일본 국민은 한국에 대해 ‘좋지 않은 인상’(51%)이라는 응답이 ‘좋은 인상’(25%)보다 2배가량 높게 나타나, 한국에 관한 인식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.
749c616cb67f1a2ad7b64c61fc8b2e5d_1756788840_836.png


한국인 66%, 중국에 비호감!
• 이번에는 동아시아연구원의 ‘동아시아 인식조사 자료’(2025)를 통해 우리 국민이 중국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살펴본다..
• 중국에 대한 인상은 ‘좋지 않은 인상을 갖고 있다’가 66%로, 우리 국민 3명 중 2명은 중국에 비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. 반면 ‘좋은 인상을 갖고 있다’는 응답은 25%에 그쳐, 한국인의 대중 인식이 전반적으로 부정적임을 보여준다.
749c616cb67f1a2ad7b64c61fc8b2e5d_1756788847_2964.png


중국 호감 이유: 큰 경제적 기회, 비호감 이유: 국민성!
• 중국에 좋은 인상을 갖는 이유로는 ‘거대 시장으로 경제적 기회가 크기 때문에’가 71%로 가장 압도적이었다. 반면, 좋지 않은 인상의 이유로는 ‘국민성과 행동이 비호감이기 때문’(58%)을 가장 높게 꼽았고, 다음으로 ‘정치체제가 공산당 일당 지배 체제이기 때문’ 40%, ‘중국의 경제적 강압과 보복 때문’ 37%가 뒤를 이었다.
• 중국에 대한 긍정적 인식으로 주로 경제적 요인에서 비롯되나, 부정적 인식은 국민성∙정치체제 등 사회/구조적 요인과 맞닿아 있음을 보여준다.
749c616cb67f1a2ad7b64c61fc8b2e5d_1756788855_2697.png

 

, , , ,

이전글 일반사회통계(301호) - 한일 국민 소득 비교 2025-09-02 다음글 일반사회통계(300호) - 영유아 미디어 이용 실태 2025-08-26

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, 넘버즈

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