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89호-

넘버즈
넘버즈 리포트
간편후원 신청
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
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.
연락처
전문보기
닫기
전문보기
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
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.이용하고자 합니다.

1. 개인정보 수집 · 이용
본인은 [개인정보 보호법] 제 15조(개인정보의 수집 · 이용)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·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.

가. [수집 · 이용목적]
수집 · 이용목적 :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

나. [수집 · 이용항목]
수집 · 이용항목 : 연락처

닫기

189호-<농어촌 교회 실태>

2023-04-25 17:56 1,188
  • 트위터로 보내기
  • 페이스북으로 보내기
  •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
  • 클립보드 복사
꼭 지켜주세요.
1) 본 자료는 무료로 볼 수 있지만,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 전재, 복제, 배포를 금합니다.
2) 본 자료는 저작권법을 준수하여 모든 통계 자료에 출처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.
3) 자료 및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연구소의 출처를 반드시 밝히시고 원자료 출처(생산자 및 소유자) 역시 밝혀야 합니다.
4) 본 자료의 PDF상의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반드시 본 연구소 출처를 밝혀주셔야 합니다. (동영상, 서적 등 모든 자료)

1. 주요용 : [농어촌 교회 실태]
- '목회자가 하기에 따라 농어촌 교회도 발전할 수 있다' 84%!

최근 비수도권에 사는 인구 절반(49%)이 ‘우리 지역 20년 내 사라질 것’이라고 응답한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*. 그 비율은 농어촌의 비중이 많은 지역일수록 높았다.

농어촌은 우리 사회에서 매우 척박한 지역이다. 고령화, 일자리 감소, 경제 위축, 사회 생활 인프라 부족 등 연쇄적으로 악화되는 문제점은 어디서부터 해결해야 할지 대책이 쉽지 않다. 이런 농어촌에서 하는 목회 역시 어려울 수밖에 없다.
교인 3명 중 2명(65%)이 60대 이상 노인이며, 10개 중 7개 교회는 교인이 30명이 채 안되며 최저 시급에도 못 미치는 사례비 등의 목회 환경은 목회자를 탈진하게 만들고(84%가 동의) 담임목사직을 그만 둘 생각까지 하게 하지만(66%가 경험) ‘목회자가 하기에 따라 농어촌 교회도 발전할 수 있다’고 84%가 동의해 농어촌 교회에 대한 희망이 살아있음을 기대하게 했다.
이러한 조사결과는 인구 감소 및 고령화로 인해 위기에 처한 농어촌 교회의 실태를 파악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근 기독교대한감리회에서 소속 농어촌 교회를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 조사에서 나타난 수치이다.
이번 <넘버즈 189호>를 통해 농어촌 교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심도 있게 논의 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.

*자료 출처 : 전국 경제인연합회, 지역경제 현황 및 전망 국민 인식 조사. 2023 4. 11. (수도권 외 지역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국민 1,000명 대상. 2023.3.24.~30.) (https://www.fki.or.kr/main/news/statement_detail.do?bbs_id=00034954&category=ST)
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146_0177.png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363_6801.png
1. [농어촌 교회 현황]
농어촌 교회 교인 3명 중 2명은 60세 이상 노인!

‣ 농어촌 교회의 출석 교인 수를 지난 주일 예배 참석한 성인 기준으로 살펴봤다. 11~30명 규모가 45%로 가장 많았고 10명 이하 규모는 25%로, 교인 30명 이하 교회가 전체의 70%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‣ 성별로는 여성이 69%로 남성(31%)보다 2배 이상 많았고,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65%를 차지했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20_1649.png

2. [농어촌 교회의 현실]
‘농어촌 교회’의 가장 큰 문제점은 ‘고령화’!

‣ 농어촌 현실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는 ‘농어촌 인구의 고령화’(92%)와 ‘농어촌 인구 감소’(81%) 응답이 가장 높았다. 농어촌 교회가 당면한 문제는 ‘교인 고령화’(80%)와 ‘교인 감소’(60%) 응답이 가장 높았는데 이 두 문제는 농어촌 현실 문제와 동일했다. 즉 지역 문제가 농어촌 교회와 직결되고 있었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27_9561.png

◎ ‘목회자가 하기에 따라 농어촌 교회도 발전할 수 있다’ 84%!
‣ 농어촌 교회 목회자들은 농어촌 교회의 현실에 대해 어두운 평가를 하고 있으나, 미래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조건적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었다. 10명 중 8명 이상은 ‘농어촌 목회에 탈진한 목회자가 많다’(84%)에 동의하여 농어촌 교회 목회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반면, ‘목회자가 하기에 따라서 농어촌 교회도 발전할 수 있다’에 84%가 동의해 ‘목회자’ 스스로에게 거는 기대와 부담감이 공존함을 보여주었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41_7467.png

◎ 농어촌 목회자 절반 이상(52%), “시골 교회에 희망이 있다”!
‣ ‘농어촌 교회에 희망이 있다고 생각하는지’ 질문한 결과, 48%가 ‘희망이 없다’고 응답해 미래를 어둡게 보는 비율이 상당히 높았지만 ‘희망이 있다’는 비율도 52%나 되었다. 연령이 낮을수록 ‘희망 있다’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39세 이하의 62%는 ‘희망 있다’고 동의한 반면 60세 이상 목회자의 62%는 ‘희망 없다’에 동의했다.
‣ 농어촌 교회에 희망이 있는 이유로는 ‘농어촌 인구가 줄어들어도 완전히 없어지지 않으므로 교회는 존재할 것이다’(54%)를 가장 많이 꼽았다. 농어촌 교회 목회를 선교적 차원에서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응답이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49_2942.png

3. [농어촌 교회의 목회]
‣ 농어촌 목회의 장점, “목사 하기에 따라 기회가 많아” 37%!

농어촌 목회를 하게 된 이유로 ‘우연한 계기로’라는 응답이 47%로 가장 많았다. ‘도시 교회에서 담임목사 기회가 없어서’(15%)을 포함하면 농촌 목회를 비계획적인 이유로 시작 하게 되는 경우가 절반을 넘었다.
‣ 농어촌 교회의 가장 큰 장점으로 ‘목회자 하기에 따라서 기회가 많다’를 3명 가운데 1명 이상(37%)이 응답했다. 농어촌 교회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아직 가능성이 있다는 인식이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56_1231.png

◎ 농어촌 목회자 36%, “교회 떠나고 싶다”!
‣ 농어촌 교회 목회자들에게 현재 담임하는 교회를 떠날 생각이 있는지 질문했을 때, 3명 가운데 1명 남짓(36%)은 ‘지금도 떠나고 싶은 생각이 있다’고 응답했으며 ‘과거에는 생각했는데 현재는 없다’(30%)까지 포함하면 전체 목회자의 66%가 농어촌 교회 목회를 그만 둘 생각을 한 셈이다.
‣ 교회를 떠날 생각을 현재 하거나 혹은 과거에 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이들은 그 이유로 ‘교회의 미래 희망이 보이지 않아서’(28%)라는 응답을 가장 많이 했으며, ‘경제적으로 힘이 들어서’라고 응답한 비율은 21%였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62_869.png

◎ 농어촌 교회의 절반, 귀농어촌 교인 있어!
‣ 교회에 귀농어촌 교인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절반 정도(47%)가 있다고 응답했다. 귀농어촌 교인이 전체 교인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15% 정도이며, 귀농어촌 교인의 12%정도는 귀농 후 신앙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69_2135.png

◎ 귀농어촌 교인이 목회에 미치는 영향 “긍정적”, 83%!
‣ 귀농어촌한 교인들이 교회와 목회에 미치는 영향으로 ‘긍정적 영향’이 83%로 나타나 농어촌 교회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.
‣ 귀농어촌한 교인들이 미치는 가장 큰 긍정적 영향으로는 ‘교인 증가’(31%)도 있지만 단순 수적인 증가보다는 ‘교회 활력 증가’(56%)가 단연 최고의 영향으로 꼽혔다. 교인 수가 줄어드는 현실에서 귀농어촌 교인의 유입이 교회에 활력을 불어 넣었음을 알 수 있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76_9374.png

4. [농어촌 교회와 지역 사회]
“농어촌 목회는 마을 전체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” 93%!

‣ 교회에서 마을목회 활동을 하는지에 대해 물어본 결과 현재 ‘하고 있다’는 비율은 18%에 불과했다.
‣ 마을목회에 대해 ‘계획 없다’(57%)고 응답한 목회자의 71%는 ‘교회 규모 작고 인력/재정 능력 미비’를 주 이유로 꼽았다.
‣ 농어촌 목회에 대해 ‘교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목회가 아니라 마을 전체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’라는 인식에 93%가 동의해 농어촌 목회가 마을 전체를 대상으로 한 마을목회를 지향해야 한다는 데에 거의 모두가 일치된 견해를 갖고 있었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83_465.png

◎ 가장 많이 하는 마을목회는 ‘아동을 위한 돌봄 및 학습 지도’!
‣ 농어촌 교회가 하는 마을목회 활동은 매우 다양했는데 그 가운데 ‘지역아동센터/공부방, 어린이집/마을 학교 등 돌봄 및 학습지도’(51%)가 가장 보편적인 마을목회 활동이었고 두 번째로 많이 하는 활동은 ‘지역 독거노인, 빈곤층 생활 돕기’(38%)였다. 마을목회가 지역 복지 차원의 활동을 많이 하고 있는 것이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90_2956.png

5. [농어촌 교회의 재정]
목회 사례비 153만 원으로 최저 시급에도 못 미쳐!

‣ 농어촌 목회자의 월 가구 수입은 평균 243만 원으로 나타났는데, 그 구성비를 보면 ‘교회사례비’가 153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‘배우자 수입’이 49만 원, 외부(교회, 선교단체, 지인)의 보조가 17만 원 순이었다.
‣ 조사를 진행한 2022년의 최저 시급에 따른 월급여액 191만 원과 비교하면 ‘교회 사례비’는 ‘153만 원’으로 최저 시급에도 미치지 못하는 열악한 상태였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898_4011.png

◎ 농어촌 목회자 절반(49%)은 부채 있어!
‣ 농어촌 목회자 중 개인 부채가 있는 경우는 절반 정도인 49%로 조사되었으며, 은퇴 후 노후 준비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‘국민연금’(75%)이 4명 가운데 3명이 응답할 만큼 가장 일반적인 수단이었고, 그 다음으로 ‘교단 은급재단’(65%)도 과반수가 준비하고 있는 방법이었다.
‣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한다는 비율도 15%나 되었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905_931.png

6. [농어촌 교회의 이중직]
농어촌 목회자 10명 중 8명은(79%) ‘이중직’에 찬성!

‣ 목회자의 이중직에 대해 찬반을 물었다. 5명 중 4명이(79%) 찬성할 정도로 목회자의 이중직은 폭 넓은 지지를 받고 있었다.
‣ 이중직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은 연령이 낮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았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915_1278.png

◎ 현재 이중직 비율 15%!
‣ 이중직에 대해 ‘현재 하고 있다’가 15%로 나타났는데, ‘전에는 했는데 지금은 안 한다’도 15%로 비슷한 수준이었다.
‣ 전국의 50명 이하 소형교회 목회자 기준 이중직 여부를 비교해 보면, 농어촌 교회 목회자가 이중직 비율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.
‣ 이중직을 하지 않는 목회자들에게 이유를 물어본 결과 ‘목회에 전념하기 위해서’가 62%로 가장 많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‘할만한 일을 찾지 못해서’(18%)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922_738.png

◎ 현재 이중직 하고 있지 않은 목회자 43%, “앞으로 이중직 할 의향 있다”!
‣ 현재 이중직을 하고 있지 않은 목회자에게 앞으로의 이중직 의향을 물어본 결과 10명 중 4명(43%) 정도는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, 이중직 경험자의 의향률(70%)은 이중직 미경험자의 의향률(38%)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.
81630b875c508b126d05d5a3e34cd146_1682412933_9948.png

 

, , , , , , , , ,

이전글 190호-<가정의 달 리포트 1 : 한국인의 결혼과 출산 의식> 2023-05-02 다음글 188호-<한국의 사회적 약자 리포트 - 장애인 실태> 2023-04-18

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, 넘버즈

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